– 서울시 대표 청년정책 ‘청년인생설계학교’ 9일(월) 서울시청서 2024년도 성과공유회
– 올해 1~5기 총 1,026명 참여… 자기이해도‧효능감, 진로성숙도 등 지표 전반 상승
– ‘성과공유회’에서 참가 이후 달라진 삶에 대한 관점, 변화와 성장 과정 이야기 나눠
서울시가 미래에 불안을 느끼는 청년에게 전문 진단검사,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게끔 돕는 ‘청년인생설계학교’ 참여자들의 자기이해도, 자기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인생설계학교’는 3년 연속 참여자 만족도가 90% 이상을 기록할만큼 큰 호응 속에 오는 9일(월) 2024년도 성과공유회 겸 졸업파티를 갖는다.
※ 최근 3년 만족도(5점 만점): (2022년) 4.56점→ (2023년) 4.64점→ (2024년 1~4기) 4.63점
올해 ‘청년인생설계학교’는 5월부터 총 5차례에 걸쳐 참여자를 모집했다. 2.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참여자 1,026명은 ▲라이프▲커리어 ▲리더십 ▲스케치 ▲스타터 중 자신의 진로 고민에 따라 선택한 코스에서 행동유형을 진단하고 흥미와 강점을 발견하는 등 진로설계 역량을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시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족 돌봄 청년 등 14개 요건중 하나에 해당하는 청년을 반별 정원의 최대 50% 이내에서 우선
선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해는 245명(전체의 24%)의 사회적배려 청년이 청년인생설계학교에서 진로 설계 역량을 키웠다.
시가 올해 청년인생설계학교 1~4기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 전후변화를 측정한 결과, 자기 이해도·자기 효능감 등은 약 14% 높아졌고 진로 정체감·진로 성숙도·자기 수용감도 22% 가량 오르는 등 조사 지표 전반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 진로 정체감 : 자기 자신의 제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 또는 생각(Tiedeman, O’Hara / 1963)
서울시는 올해 청년인생설계학교 성과와 함께 참여자들의 성장 과정을 공유하기 위한 성과공유회를 12.9.(월) 15시 서울시청(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성과공유회는 ‘졸업파티’ 컨셉으로 진행된다.
1부 ‘24학번 그룹톡’은 2024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졸업생들이 다시모여 프로그램 참여 이후 달라진 일과 삶에 대한 관점, 다른 청년들과의 만남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돌아보는 시간으로 꾸려진다.
이어지는 2부 ‘졸업생 오픈 마이크’는 라이프·커리어·리더십·스케치,각 코스별 참여자 4인이 저마다 특별한 사업 참여 경험을 공유하는시간이 될 예정이다.
커리어 코스 참여자 김성종 씨(28세)는 자신의 욕구에 대해 확실히이해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었기에 기대가 크지 않았지만 4주간의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다면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 경험을 발표한다. 김성종 씨는 청년인생설계학교를 통해 앞으로 추구할 인생방향을 찾은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대학 비진학 청년의 성장 스토리 등 다양한 참여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3부 ‘나의 소중한 인연에게’에서는 올 한 해 자신의 성장을 응원해 준여러 인연에게 감사 카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갖는다. 아울러 청년인생설계학교를 계기로 자신의 일과 삶에 어떠한 변화와 성장이 있었는지도 되짚어 본다.
한편, 이번 졸업파티는 행사장에 참석하지 못한 청년들도 현장의 뜨거운 분위기와 생생한 성장 경험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스케치 영상으로 촬영되며 ‘청년인생설계학교’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상한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청년인생설계학교는 청년들이 자아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며,“졸업파티에서 들은 청년들의 진솔한 이야기에 귀 기울여 청년이 ‘더나은 내일의 우리’를 꿈꾸며 도전할 수 있도록 청년 입장에서 세심하게 정책을 꾸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 청년정책담당관